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반기에도 은행 점포 31곳 사라졌다…우체국 대출위탁 열리나
은행 국내점포 5713개…5년새 691곳↓
지방은행도 슬림화 가세…상반기 9개 감소
금융당국 “법개정 또는 규제샌드박스 검토”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비대면 금융거래 활성화, 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한 은행권의 점포 축소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올 상반기에도 30여곳의 영업점이 문을 닫았다. 금융당국은 은행의 ‘몸집 줄이기’를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보고, 우체국의 은행 대리업 허용 방안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5일 은행연합회의 은행 국내 점포 현황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17개 은행의 전국 지점·출장소 수는 총 5713개로 집계됐다. 은행 점포 수는 2020년 말 6404개, 2021년 말 6093개, 2022년 말 5797개, 2023년 말 5744개로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올 상반기에도 31개가 줄어들었다.

상반기에 줄어든 점포를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에서는 14개, 우리은행에서는 8개가 감소했다. SC제일은행에서도 9개의 점포가 문을 닫았다. 하나은행과 KB국민·NH농협은행에서 각각 3개, 2개씩 늘긴 했지만, 감소 추세를 돌려세우진 못했다.

지방은행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다. 광주은행과 부산은행은 상반기 중 각각 5개, 1개의 점포를 정리했으며, 최근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옛 대구은행)도 3곳을 폐점했다. iM뱅크를 포함한 6개 지방은행의 국내 점포 수는 2020년 말 889개에서 올 6월 말 798개로 쪼그라든 상태다.

은행들이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이나 지방 지역의 금융 서비스 접근성을 저하시킨다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영업점 통·폐합 등을 통한 몸집 줄이기를 계속하는 것은 비용 효율화 때문이다. 점포를 운영하는 데 들어가는 임차비, 인건비 등 비용만큼 이익이 나진 않는다는 이유다.

최근 인터넷, 모바일 앱을 활용한 디지털금융 서비스가 활성화된 것도 한몫한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를 통해 9월 말 기준 주요 은행 앱의 월간활성사용자수(MAU)를 살펴본 결과, 토스 1870만명, 카카오뱅크 1630만명, KB스타뱅킹 1356만명, 신한SOL뱅크 926만명 등에 달했다.

금융당국은 이러한 흐름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것보다는 우체국에 은행업무 대리업을 허용하는 게 낫다고 보고 있다. 전국 2500여개 우체국을 은행 대리점처럼 활용하면, 인구소멸지역 등 지방의 금융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복안이다.

특히 대면 수요가 높은 대출 업무를 우체국에 위탁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전향적으로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해외에서도 일본 유초은행이 3000여개의 우체국을 은행 대리점으로 활용해 대출 상품을 판매하는 사례가 있다.

이와 관련해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은행 대리업의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대출 위탁은 법률을 개정해야 하므로 은행법을 고쳐서 갈 건지, 규제샌드박스를 활용해 조금 더 빨리 갈 건지 판단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