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부재 등 의료인력 부족 사유가 3분의 1 차지
전국 곳곳에서 응급실 운영이 파행하는 가운데 정부가 4일 군의관 등 보강 인력을 긴급 배치했다. 이날 서울 양천구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에서 한 환자가 응급의료센터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올해 들어 전국 응급의료기관이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 ‘의료인력 부족 등으로 응급실 진료를 제한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띄운 경우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 제한’ 메시지란 응급실 처치 뒤 후속 진료가 불가능한 것을 뜻하며,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종합상황판에 표시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 표출현황’ 자료를 전수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5일 밝혔다.
응급실 진료제한 메시지 표출 현황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 제공] |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대 증원 발표로 전공의가 의료현장을 떠난 2월부터 8월 26일까지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는 총 7만241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만9004건)보다 22.7%(1만3407건) 많은 수치다.
특히 8월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6971건)보다 3639건 많은 1만610건의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를 띄웠다. 사유로는 전문의 부재 등 의료인력 부족 사유가 3721건(35.1%)을 차지했다.
김선민 의원은 “이제 곧 돌아오는 추석 명절에는 사건·사고가 잦아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더욱 늘어날 텐데, 철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그야말로 대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는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대거 사직으로 응급실 운영에 일부 어려움이 있는 것은 맞지만, 붕괴를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지난 4일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브리핑에서 “정부가 너무 낙관적으로 보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과도하게 불안해하실 필요는 없다”며 “전공의 사직에 따른 대학병원 위기는 사실이고 교수님들도 사직하시지만, 이후 다른 종합병원 등에 취업해서 일하시기 때문에 대한민국 전체 의료는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 표출된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의 후속 진료 가능 여부 분석 결과, 9월 3일 기준 27개 질환별 진료할 수 있는 의료기관은 평균 103곳으로, 2월 첫째 주 평시(109곳)와 비교하면 6곳 줄어든 수치였다.
g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