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무력한 단일대오’ 그만, 與대표 쇄신경쟁 더 선명해야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해병대원 채상병 특검법 추진 뜻을 밝히며 23일 차기 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같은 날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도 출사표를 던졌다. 이틀 전 당권 도전 뜻을 밝힌 윤상현 의원을 포함해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는 4파전 구도가 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채상병 특검법을 한 전 위원장이 출마 일성으로 내세우면서, 당대표 경선 초반 쟁점이 됐다. 후보들간 특검법 논쟁이 당정관계 뿐 아니라 여당쇄신과 보수혁신, 민생·국정 비전을 아우르는 경쟁으로 확대될지가 7·23 전당대회 성패의 관건이 될 것이다.

한 전 위원장은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여야나 대통령이 아닌, 대법원장 같은 중립적인 제3자가 특검을 추천하는 것을 전제로 “국민의힘이 나서서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다른 세 후보는 이에 대해 즉각 반대 의사를 표했다. 나 의원은 “민주당 특검은 진실규명용이 아니라 정권 붕괴용”이라며 “특검수용론은 순진한 발상이고 위험한 균열”이라고 했다. 원 전 장관은 “우선 공수처에서 수사를 철저히 하고 그 결과에 미진함이 있다면 그때 가서 특검을 논의할 수 있다는 게 여당 입장”이라고 했다. 윤 의원도 “공수처 수사를 지켜보자는 입장을 짓밟고 내부 전선을 흐트러트리는 교란이자 자충수”라고 비판했다.

여당은 4·10 총선 참패 후 두달이 넘도록 제대로 된 원인 분석과 혁신 논의를 하지 못했다. 제22대 국회 개원 후엔 주요 상임위원회를 독차지한 야당에 ‘의사 일정 거부’ 외에는 뾰족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 야당의 입법 강행엔 “대통령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건의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 이 가운데 한 전 위원장의 당 대표 경선 가세로 당내 ‘다른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나오고, 총선 패인과 혁신안을 놓고 논쟁을 벌이게 된 것은 뒤늦었지만 다행한 일이다. 나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해 “총선 패배를 자초한 오판을 반복할 수 없다”며 ‘당정동행’을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총선 결과는 오로지 제 책임”이라며 “당정관계를 수평적으로 재정립하겠다”고 밝혔다. 원 전 장관은 “대통령과의 신뢰”를 강조했고, 윤 의원도 “이기는 정당이 되려면 대통령과의 갈등은 안 된다”고 했다.

약 한달이 남은 전당대회는 무엇보다 윤석열 정부의 남은 3년 임기 성패를 좌우할 중요한 계기다. 특검법과 당정관계를 시작으로 당 대표 후보들은 당의 쇄신과 민생·국정 비전을 놓고 더 선명하고 더 치열한 노선 경쟁을 벌여야 한다. 여당이 ‘무력한 단일대오’를 벗어나 ‘혁신을 선도하는 민주정당’으로 민심을 얻는 방법은 그 길밖에 없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