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해남서 고대해상왕국 ‘마한’ 제사공간 발견…“최대 규모”
해남 거칠마 토성 북문지 모습. [국가유산청]
방형단 모습. [국가유산청]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전남 해남군 북일면에 위치한 ‘거칠마 토성’에서 고대 마한시대에 행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최대 규모의 제사 공간이 발견됐다.

국가유산청은 ‘역사문화권 중요 유적 발굴조사’의 일환으로 해남군과 마한문화연구원, 동신대 영산강문화센터가 진행하고 있는 발굴 조사에서 고대 마한의 전통 제사 의례용으로 추정되는 공간을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북문지 출입시설 모습. [국가유산청]

해남 거칠마 토성은 1990년대 초반에 발견된 성곽 유적이다. 전체 둘레 385m, 면적 약 6000여㎡ 규모로 전남 해남군 북일면 거칠매산의 정상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흙더미를 쌓아 올려 축조됐다.

이번 조사를 통해 토성 정상부에서 방형(사각형)의 제단과 제단 내 3개소의 출입시설(문지와 계단), 입대목(立大木)을 세운 대형 기둥 구멍(지름 110㎝, 깊이 90㎝), 대형 점토 집수정, 청동방울 등이 확인됐다.

입대목 주변 철제방울 출토 모습.
입대목 추정 구멍. [국가유산청]

특히 대형 기둥 구멍은 3세기 진나라 때 집필된 ‘삼국지’ 중 ‘위서-동이전’에 기록된 마한의 특징적 문화 ‘소도’(蘇途·죄인이 도망쳐도 잡을 수 없었던 제례 공간)와 유사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국가유산청은 “유적 연대가 5~6세기인 점을 고려하면 소도의 발전된 형태로 여겨진다”며 “지금까지 발견된 제사 유적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특수 성역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제단 바로 동쪽에서 발견된 집수정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찰진 점토를 두텁게 발라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인공적으로 물을 가둬두는 이례적인 방식으로 엄격하게 관리됐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점토 집수정 모습. [국가유산청]

유적 일대에서는 거칠마 고분 1기, 구덩이를 판 반 움집 형태의 집터, 조개껍데기로 이뤄진 패각층 등도 나와 대규모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유산청과 해남군은 21일 오후 2시에서 현장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해남군은 올해 9~10월 거칠마 토성 유적에 대한 2차 조사를 진행한 뒤, 학술 연구·조사를 거쳐 지정유산으로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매장주체부 부장유물 출토 모습. [국가유산청]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