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물가불안 가중, 민생 1호 지킨다는 각오로 대응해야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8%를 기록했다. 지난 3월의 4.2% 이후 최고치다. 8월(3.4%), 9월(3.7%) 2개월 연속 3%대 오름세를 이어간 물가 상승률이 여름철 이상 기온 등 계절적 요인이 완화되는 10월부터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봤는데 오히려 상승폭을 키웠다. 농산물 가격의 오름세가 꺾이지 않은 영향이 컸다. 채소류(5.3%)를 비롯한 농산물이 13.5% 뛰면서 2021년 5월(14.9%)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이달에 주요 재료인 배추 가격이 1년 전보다 40% 넘게 올라갈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도 나왔다. 석유류는 1년 전과 비교하면 1.3% 하락했지만 전년 동월비 하락폭이 7월 -25.9%, 8월 -11.0%, 9월 -4.9% 등으로 줄어들면서 오히려 물가 상승폭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도 4.6%나 상승했다.

서민이 체감하는 물가는 이미 포비아(공포증) 수준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진행한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는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 “도둑맞은 지갑이다” 등 하소연이 쏟아졌다. 런치플레이션, 김치플레이션, 우유플레이션, 설탕플레이션 등 고물가를 상징하는 신조어도 난무한다. 원유(原乳), 밀가루, 식용유 등 제빵에 쓰이는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길거리 간식에까지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 여파가 덮쳤다. 번화가에선 개당 1000원을 받는다고 한다. 겨울철 대표 서민간식인 붕어빵조차 마음 편히 사먹기 힘들게 됐다.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물가와 민생을 국정의 최우선에 두겠다고 하면서 정부가 2일 범부처 특별물가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역대 최대 규모인 총 245억원을 투입해 배추·무 등 14종 김장재료의 할인품목과 할인폭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8개 수입과일·식품원료에 대해 신규 할당관세 적용, 동절기 취약계층 에너지바우처 지원 등도 시행된다. 당장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한 긴요한 대책들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따른 유가 불안, 미국발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수입원자재 가격 오름세 등에 대한 선제적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

현재의 고유가와 고환율은 모두 외생 변수여서 대응이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러나 에너지 수입처 다변화, 무역구조 개선 등으로 우리 경제의 체질을 더 단단하게 할 기회이기도 하다. 윤석열 정부가 물가를 민생 안정의 최우선과제로 설정한 만큼 비상한 각오로 실효적 대책을 강구하기 바란다. 물가를 잡아야 민심도 잡을 수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