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전투기 개발 연대기 [안승범의 디펜스타임즈]
KF-16 전투기 [안승범의 디펜스타임즈 제공]

국내 기술로 개발한 최초의 국산 전투기 KF-X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너럴일렉트릭(GE)과 기술 협약을 체결해 제작한 엔진이 들어간다. KF-X는 최초의 국산 전투기라는 취지에 맞게 양산 단계에서 65%의 부품 국산화율을 목표로 삼은 바 있다. 엔진 국산화는 부품 국산화를 위한 큰 포석 중 하나란 평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앞선 삼성테크윈 시절부터 한국 전투기 사업의 기술력 상승을 위해 힘써왔다. 이주 안승범의 디펜스타임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전투기 개발 연대기를 정리해봤다.

▶ KF-5 제공호 전투기 엔진 최초 면허생산=1979년 가스터빈 엔진 창정비 사업을 시작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당시 삼성테크윈)는 국산 전투기 KF-5 사업에도 참여했다.

1980년 정부가 절충 교역으로 전투기 제작에 필요한 기술을 도입하기로 하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GE사로부터 J85 엔진의 조립생산 및 부품 국산화를 위한 기술도입을 추진했다. 이후 외부에서 전문인력을 초빙해 부품 제작에 들어간지 약 3년 여, 1982년 9월 국내 최초로 초음속 전투기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제공호 엔진 면허 제작을 바탕으로 1983년부터 상용 엔진 부품사업에 착수하는 기반이 됐다.

▶ KF-16 전투기 엔진 면허생산=1991년 시작한 KFP(한국형 전투기 사업)의 기종이 F-16으로, 엔진은 PW사의 F100가 선택됐다. 당시 엔진 사업뿐 아니라 기체 사업은 국산화율이 41%였다.

한국공군에 납품될 KF-16은 조립 전투기로 1994년 10월 전방, 중앙, 후방 동체만 결합하고 주익과 미익은 분리된 상태로 2대를 들여 조립작업을 시작했다. 조립된 F-16은 1997년 3월, 1호기를 출하했고 1998년 공군에 인도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00여 개 협력사 4000여 명의 항공인력과 함께 부품 개발에 열을 올렸다. 외국에서 부품을 가져와 단순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부품을 우리 손으로 만들기 위해서였다.

▶ KF-16 전투기의 F100 엔진 면허생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엔진의 핵심 부품이자 각 기업의 전략 부품인 블레이드 모든 단계를 포함한 총 110품목을 국산화해야 했다. 1997년 3월, 각종 테스트를 통과하며 F100 엔진의 블레이드를 국산화했다. 마지막 공정인 주파수 시험과 피로도 시험도 시행착오를 반복했다.

어떠한 시험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시험의 개념조차 모르는 상황에서 기술도입선인 P&W사에 문의해도 도움은 없었다고 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4가지 모드의 주파수를 맞춰 나가며 1000만 번을 흔들어 블레이드를 부러뜨림으로써 그 강도와 수명을 확인하는 피로시험을 거쳤다. 결국 1년간 27번의 시험을 거친 끝에 성공을 이뤘다. 1997년 4월 모든 부품을 조립한 후 시험비행도 진행했다.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 [안승범의 디펜스타임즈 제공]

▶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 개발과 F404 엔진 면허생산=1989년 KFP 사업이 본격 논의됐다. 당시 절충 교역으로 독자 항공기 개발이 추진됐다. 당시 대한민국 공군은 조종사 고등훈련에 T-33이나 TF-5B 같은 노후 전투기종에 의존하고 있었다. 새로운 고등 훈련기가 필요했다.

이에 국방부가 KFP 사업과 함께 고등훈련기인 사업명 KTX-2사업을 병행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당시 세계적인 추세였던 경공격급 항공기를 개발을 결정하고 개발 비용·시장성·성능 측면을 고려해 KTX-2사업을 한국(80%), 미국(20%)으로 분담하는 국제 공동개발 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KFP 사업은 우리 공군의 주력 기종인 KF-16 전투기를 조립, 생산 사업과 연계해 군용 훈련기 설계 기술의 이전을 미국 록히드마틴에 강력히 제안했는데, 이것이 고등훈련기 사업의 시발점이다.

당시 삼성테크윈은 1998년 KF-16의 기술도입 면허생산이 완료되기 때문에 체계개발로 반드시 나아가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록히드마틴을 사업에 참여시키고, 직접 개발비를 일부 부담하고, 판매 시 나눠 갖는 방식이었다.

1995년까지 탐색 개발이 진행됐으며,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당시 삼성테크윈), 대한항공 등이 미국의 록히드마틴사와 기술협력을 맺어 사업을 추진했다. KFP 및 기타 항공사업의 절충 교역 조건을 통해 외국기술을 전수받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1997년 9월, 총사업비 약 1조 7000억 원의 고등훈련기 체계개발 계획이 확정됐다. 1998년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당시 삼성테크윈)와 록히드마틴사가 KTX-2의 공동판매계약을 체결. 1999년 외형 형상이 확정된 이후,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당시 삼성테크윈)는 항공기 엔진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기체 제작사업을 신설 법인인 KAI에 넘긴다.

마침내 2001년 10월,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출고행사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T-50의 별칭인 ‘골든 이글’의 명명식이 함께 진행됐다. 한국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초음속 비행기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이후 모든 시험을 거쳐 2002년 8월 20일, T-50 고등훈련기가 첫 공개 비행에 성공, 2003년 초음속 돌파 비행에 성공하며 우리나라는 초음속 비행기를 개발한 12번째 국가가 된다.

▶ 국내 공장에서 F404 엔진 면허생산=T-50은 마하 1.4의 초음속 항공기로 미국의 T-38 초음속훈련기 이후 동급의 신형기가 나오지 않은 세계 고등 훈련기 시장에서 진입할 수 있는 전략 수출 품목이었다.

2005년 3월, T-50 엔진 생산 킥오프에 들어가 2006년 1호기 엔진을 출하했다. 면허생산이었지만 P&W사로부터 설계도면을 들여와 일부 부품만 국산화해 제작한 F100 엔진과 달리, F404는 우리가 요구한 디자인 사항이 많이 반영된다.

F404 엔진은 원청사인 GE사에 조립라인이 없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당시 삼성테크윈)의 조립기술에 의존해 생산했다.

안승범의 디펜스타임즈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