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국방부는 이 간호장교가 국방부로부터 지침을 받거나 지시를 받고 언론 인터뷰를 한 게 아니라고 해명해 의혹을 키우고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설명 과정에서 “조 대위는 현역이니 인터뷰 요청을 받으면 국방부 훈령에 의해 대변인을 거치게 돼 있다”면서 “국방부는 인터뷰에 응하겠다는 본인 의사를 확인하고 절차에 따라 인터뷰를 주선했다”고 말했다.
조 대위가 국방부 허락에 따라 언론 인터뷰를 진행했다는 사실은 2일 처음 밝혀진 사실이다.
군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당일인 2014년 4월 16일 청와대 의무실에 상주 근무한 간호장교는 2명, 군의관은 5명이다.
최순실 게이트로 국민적 분노가 높아진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제3차 대국민담화를 하고 있다. |
간호장교 중 선임인 신모 대위는 2013년 4월~2015년 2월 청와대 의무실서 근무 후 전역했다. 신 대위가 전역한 2월은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꾸려진 시점 직후여서 이와 관련해 의혹이 제기되는 상태다.
후임인 조모 대위는 2014년 1월~2016년 2월까지 근무했고 지난 8월부터는 간호장교 미국연수 과정에 선발돼 현재 미국 텍사스주 육군의무학교에서 연수 중이다. 내년 1월 연수를 마치고 귀국할 예정이다.
조 대위는 청와대 근무 직후 6대 1의 치열한 경쟁률을 보인 미국연수에 선발돼 특혜 의혹을 받고 있다. 선호지역과 험지를 순환하는 군 인사 원칙상 청와대 근무, 해외연수 등 양지만 걸어온 조모 대위의 행적이 상식을 벗어난다는 것이다.
이렇게 신 대위와 조 대위의 행적에 수상한 정황이 관측되면서 청와대와 국방부 등이 나서 이들을 조직적으로 감싸거나 비호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한 이에 대해 정부 당국이 해명했지만, 여전히 의혹은 풀리지 않고 있다.
두 간호장교는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에 근무했다는 점에서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의혹을 풀 핵심 ‘키맨’으로 지목됐다.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 있던 두 간호장교의 실체가 하나둘 드러나면서 대통령의 7시간 의혹은 중대한 고비에 직면했다. 그 과정에서 이들의 기자회견은 긴급하게 열렸다.
전역한 뒤 강원도 원주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공채로 입사한 신 대위는 29일 오후 4시 자신의 직장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참사 당일 청와대에서는 통상적인 업무를 수행했고, 그날 대통령을 본 적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미 현지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조 대위도 “당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진료는 없었다”고 밝혔다. 두 간호장교가 일사불란하게 의혹에 대해 해명하고 나선 것.
조 대위는 그러나 대통령이 백옥주사 등을 맞았느냐는 질문에는 의료법상 기밀누설 금지 조항을 들며 답변을 거부했다.
그런데 조 대위의 인터뷰 과정에서 수상한 정황이 다수 포착됐다.
조 대위는 자신에 대한 언론 취재가 본격화하자 거처를 민간인은 접근할 수 없는 현지 육군의무학교 영내 호텔로 옮겼다. 이후 전화로만 인터뷰에 응했다.
국방부 측은 조 대위가 숙소를 옮긴 것, 전화 인터뷰로 언론에 응한 것 모두 조 대위의 판단이었다고 밝혔다. 조 대위가 언론에 밝힌 내용도 조 대위가 군이나 청와대의 지침 없이 스스로 판단한 것이라고 했다.
해외연수 중인 우리 군 장교가 마음만 먹으면 미군기지 영내 호텔로 거처를 옮길 수 있느냐, 호텔비용도 국비로 지원되느냐는 질문에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그렇다“고 답했다.
만약 이 모든 답변이 사실이라면 우리 군 장교는 미국 연수 중 자신의 판단에 따라 언론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마음 먹기에 따라 현지 거처 대신 호텔에서 자유롭게 숙박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문 대변인은 앞서 강원 원주에서 진행된 신 대위의 언론 인터뷰에 대해서도 “전역한 민간인이기 때문에 인터뷰에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런 해명에 대해 국민들은 의문을 느끼고 있다. 정부 일각에서도 군의 이런 해명에 대해 고개를 갸웃거리는 정황이 보인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군은 더 말할 나위도 없고, 정부 측에서 나오는 언론 메시지는 대부분 사전 조율을 거쳐 발표되는 것으로 안다”며 “미국에 연수 중인 군 간호장교가 국방부나 청와대 측 지침없이 자기 뜻대로 언론 인터뷰를 했다는 건 현실성이 떨어지는 해명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런데 국방부는 언론이 추가로 조 대위와의 인터뷰를 요청하자 거부했다. 앞서 조 대위의 언론 인터뷰는 본인의 의사에 따른 것이라고 밝힌 국방부가 조 대위 추가 인터뷰를 ‘불허’하며 말을 뒤집은 것이다.
이 과정에서 분명해진 사실은 있다. 조 대위의 인터뷰는 국방부 허락에 따라 진행됐다는 것이다.
그 외에 인터뷰 내용에 정부 측 지침 등이 있었는지 여부는 당분간 의혹으로 남을 전망이다.
sooha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