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새정치’를 내세운 새정치민주연합의 ‘구태’ 논란이 끊임없다. 새정치연합 소속 의원들의 계파 분석 명단 작성 의혹이 도마위에 오르더니 이번에는 언론사별 담당 의원 명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언론 자유 수호에 나서야할 야당이 언론 재갈 물리기에 나섰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열흘 전 옛 민주당의 의원 총회에서 정세균 의원이 ‘의원vs언론’ 1대1 마크 팀을 꾸리자는 의견이 나왔을 때, 김한길 대표가 동의하고 다수 의원이 박수로 화답한 했던 것이 발단이 됐다. 이게 뒤탈이 났다. 언론사는 물론 의원들로부터도 그닥 환영 받지 못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최초 의도는 명확했다.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편파 불공정 내용이 보도로 나올 경우 항의 전화를 하거나, 정도가 심할 경우 법적 대응까지 한다는 것이다. 물론 항의 전화에 필요할 수 있는 ‘기름칠’을 위해 평소 해당 언론사와 식사자리를 가지는 등 유연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 까지도 의원담당제 도입의 이유였다.
그런데 1차적으로 의원들의 명단을 받아봤더니 당초 의도와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소위 말하는 ‘모니터링’이 필요없어 보이는 언론사를 지망한 의원들이 가장 많았던 것이다. 이같은 결과는 의원들의 ‘귀차니즘’ 탓으로 분석된다. 언론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엔 공감하지만 이것이 ‘자기 일’이 되는 것에 대해선 회의적이었다는 얘기다.
언론 대응에 적극적이어야할 대변인이 담당하는 언론사 숫자보다 특정 지자체 후보로 나선 인물이 담당하는 언론사 숫자가 더 많은 점도 어색하기 짝이 없다. 이번 명단이 지방선거용이지 않냐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해 보인다.
언론사들의 입장도 탐탁치 않다. 왜 우리 회사가 들어갔느냐는 항의도, 왜 빠졌느냐는 항의도 나온다. 명단에 오른 언론사들은 ‘모니터링’을 해야할 만큼 우리 회사가 새정치민주연합에 편파적으로 나쁜 보도를 했다는 말이냐로 받아들이는 언론사도 있다. ‘법적 대응’까지 하겠다는 발표가 포함됐기에 해당 언론사에 대한 선전포고로도 읽힘직 했다.
이번 ‘의원 담당 명단’은 의원들로부터도, 개별 언론사들로부터도 환영받지 못한 ‘언론 대응’이 됐다. 이를 보고 새누리당은 북한의 ‘5호 담당제’라고 비난했다.
이런 과정에 실무를 맡았던 신경민 의원의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신 의원은 이날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나는 심부름만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언론사 담당 의원 명단은 누굴 위한 것이었을까.
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