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또 정치논리에...새 진흙탕 싸움 시작?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최종 입지가 대덕으로 결론났으나 이미 대덕 유력설로 인해 야기된 파장과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과학계도 이명박 대통령이 공약으로 정식 채택한 지 4년 만에 과학벨트가 가시화된다며 반기면서도, 선정과정이나 이후 진행되는 양상들이 모두가 기다렸던 장면이 아니라는 점에서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우선 입지 신청을 했던 10개 후보지 중 탈락 지역들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과학벨트가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의견이 많다. 정식 절차를 거쳐 투명하게 최종 입지가 나오더라도 어느 정도의 반발이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입지가 사전에 선정됐다는 비난이 일면서 최악의 경우 탈락 지역이 ‘무효’까지 주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호남권유치위원회에 속한 김진의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는 결과 발표 전에 이미 “탈락 지역에선 특정지역을 염두에 둔 짜맞추기식 정략적 심사를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었다. 그는 “차라리 5개 후보지로 압축한 내용만 발표하고 5월 말 또는 6월 초에 현지실사를 거쳐 더욱 신중하게 최종 후보지를 발표할 필요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 배치가 어떻게 될지도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산하에는 연구 테마 중심으로 독립적인 50개 연구단 중 본원에 절반인 25개를 채울 예정인 가운데, 본원에 들어가지 않는 나머지 연구단을 탈락한 지역에 집중 배치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한 연구단지 관계자는 “연구가 유기적으로 효율성 있게 진행되려면 관련 시설과 인력이 일정 권역에 집중돼야 하는데, 향후 나눠주기 식으로 산발적으로 연구단이 배치된다면 과학벨트 구축의 효과는 반감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모여 기초ㆍ순수과학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수한 과학인재를 길러내자는 야심찬 포부로 출발한 3조5000억원의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하지만 지난 2009년 9월 정운찬 전 총리가 당초 예정됐던 세종시 정부청사 이전 반대를 표명하면서 꼬이기 시작했다.
절정은 지난 11일 입지평가위에서 위원들이 제출한 주관적 정성평가 결과와 앞서 산출된 지표별 정성평가 점수를 합산하는 과정 이후였다. 공식 발표를 하루 앞두고 여권에서 ‘대전이 유력하다’는 얘기가 흘러나왔고, 결국 당초 우려대로 이 사안은 정치적 흥정의 대상물로 전락하고 말았다.
16일 발표가 나자마자 지역이기주의를 감춘 영호남 지역의 각 지자체가 더욱 강력하게 반발하기 시작했다. 뻔히 예상되는 지역갈등을 막기 위해 대전 이외 지역에 ‘적당히’ 나눠주기 수순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한다.
과학벨트 최종 입지 선정작업이 출발 전부터 정치논리와 지역이기주의에 발목이 잡혀 지역 간 갈등만 부추긴 꼴이다. 이날 후보지 최종 선정은 과학벨트 논란에 방점을 찍은 게 아니라 새로운 흙탕물 싸움을 알리는 시작일 뿐이다. 정태일 기자/killpass@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