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올해 PF 25조 만기 … 중견건설사발 대란 오나
중견 건설사발 ‘PF문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지난 2월 월드건설이 올들어 첫 법정관리를 신청할 때만해도 미풍수준이 었던 건설사 PF문제는, 진흥기업, LIG건설, 삼부토건에 이어 동양건설산업의 줄줄이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로 이어지면서 건설업계와 금융계의 태풍이 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이 끝이 아닌 시작이라는 점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에만 약 25조원의 PF가 만기를 맞는다. 벌써부터 ‘5~6월 PF 대란설’이 나온다.

주택브랜드 ‘파라곤’으로 유명한 동양건설산업은 15일 서울중앙지법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사흘전 법정관리를 신청한 삼부토건과 함께 진행한 서울 헌인마을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갚지못하면서 부도를 맞았다. 갚아야 할 전체 PF와 자산유동화기업어음은 4921억원 규모다.

동양건설산업은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 평가액 9431억원으로 도급순위 35위의 회사다. 보수적인 경영으로 17년 연속 흑자를 기록할 정도로 업계에서는 건실한 회사로 꼽혔다. 하지만 PF에 발목이 잡혀 쓰러러지고 말았다.

부동산 동양건설산업이 갚아야 할 PF와 자산유동화기업어음은 4921억원 규모다.

부동산 PF문제는 지난 2월 이후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1985개 대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C,D 등급을 받은 16개 건설사를 구조조정대상으로 확정할 때만해도 2011년 건설사들의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부실 건설사에 대한 대규모 ‘솎아내기’가 진행되면 살아남은 업체들의 ‘파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건설경기의 개선 기대감도 높았다.

하지만 눈앞의 상황은 정반대다. 효성그룹의 자회사인 진흥기업, LIG그룹 소속의 LIG건설, 63년 전통의 삼부토건에 이어 동양건설산업까지 줄줄이 무너졌다.

문제는 앞으로다. ‘5~6월 대란설’이 고개를 들고 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은 은행권에서 15조원, 비은행권에서 10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PF대출 잔액의 약 40%에 달한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36개 주요 건설사가 갚아야할 상반기 중으로 갚아야하는 PF만 13조8000억원에 달한다.

건설사들의 자금 사정은 좋지 않은 반면 은행권들의 회수 의지는 여느때보다 강하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올해 총 3조5000억원의 대출 만기가 돌아오는 데 이가운데 1조5000억원은 회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체 6조1000억원의 PF 대출이 남은 우리은행은 5~6월중에만 1조3000억원 만기가 돌아온다.

게다가 LIG그룹이 부실 계열사 ‘꼬리 자르기’에 뒤통수를 맞은 은행들은 대기업 계열 건설사의 신용위험평가에 냉혹한 잣대를 들이대겠다고 벼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PF 대출의 만기가 상반기에 많이 몰려있고, 채권금융기관의 신용위험평가 기간이 겹쳐 있어 상당수의 건설사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은행권만의 문제가 아니다. 12조2000억원에 달하는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도 기다리고 있다.

자율적 워크아웃에 비협조적인 저축은행의 PF 대출 만기는 특히 3분기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다. 솔로몬저축은행계열의 PF만기는 2분기 1000억원에서 1300억원으로 늘어난다. 현대스위스저축은행계열도 3분기에 1200억원의 만기가 도래한다. 저축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규정에 따라 오는 7월부터 여신에서 부동산 PF가 차지하는 비중을 25% 이하로 낮춰야 한다. 당연히 대출연장을 해주지 않으려 하는 분위기다.

벌써부터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금융권의 대출상환 압력이 건설사들을 옥죄고 있다. 추가담보 요구가 이어진다. 지난해 구조조정으로 지쳐있는 건설업체들은 금융압박이 들어오니 더 버틸힘이 없다. 삼부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10대 건설사도 자금난에 휩싸일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그런 가운데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이 지난해 말 일몰 된 것도 상황 악화의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정이 어려운 건설사들로 하여금 채권단과 회생방안을 논의하기 보다는 압다퉈 법정관리 신청에 나서게 하고 있다. 반면 채권단은 건설사들이 법정관리를 들어가기전 어떻게든 대출금을 회수하려고 하면서 건설사들이 더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원은 “현재로써는 기촉법의 부활이 PF대출 부실 문제에 대한 최선의 대응책”이라면서 “이 자체도 근본 대책은 아니지만 건실한 기업마저 도산하는 상황은 막을 수 있다”고 봤다.

<박정민 기자@wbohe>
boh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